온정균 보살만 11수 상편 작품 해석
오랜만에 보살만의 수를 가지고 왔다. 오늘은 온정균 보살만 11수에 대해서 상편과 하편으로 나눠서 알아보도록 하자.
보살만은 사랑하는 연인을 그리워하는 여성의 일상생활과 그리워하는 모습을 구성하고 있는 중국 당나라 후기에 유명한 시인인 온정균이 쓴 시이다.
그럼 바로 11수 상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南园满地堆轻絮,愁闻一霎清明雨。 雨后却斜阳心,杏花零落香。
남쪽 정원에는 가벼운 버들개지가 땅에 온통 가득하네.
청명절에 내리는 수문에 한바탕의 빗소리를 근심스럽게 듣는다네.
비가 그친 후에 해가 지려하네.
살구꽃에서 향기가 드문드문 나네.
11수에는 여성이 홀로 있을 때의 쓸쓸하고 서글픔을 강조하는 부분이다.
남쪽정원에는 가벼운 버들개지가 땅에 온통 가득한 모습을 상상해 보면 알 수 있다.
버들개지는 버드나무 과의 넓은 잎 작은 키 나무 밑동에서 줄기가 나와 굽어지듯 자라는 동글동글한 식물이다.
땅에 동글동글한 식물이 가득한데 심지어 한바탕 비까지 내린다.
여기서 나오는 청명절은 우리에게는 매우 생소한 단어일 수도 있는데, 청명절은 24 절기의 5번째의 절기로 한자 그대로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의 설과 같이 중국에서 큰 명절 중에 하나이다. 청명절은 햇빛이 밝고 초목에 싹이 트여 생기가 넘치고 푸릇푸릇한 느낌이 강하게 드는 날인데, 그런 날의 여성은 혼자 있는데 한바탕 비가 온다.
땅은 식물로 가득하고 맑아야 하는 날에 비까지 오고 여성 옆에 사랑하는 여인은 없으니 여인의 쓸쓸함이 더욱 극대화돼서 느껴진다.
그렇게 가랑비가 한차례 오고 나서 날이 개고 나서 해가 질 시간이 되어 한줄기의 석양이 비 온 뒤의 남쪽 정원의 모습을 비췄을 때에는 여성의 눈에 들어온 것은 살구꽃이다.
한줄기의 석양이 비추는 살구꽃의 모습은 더없이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살구꽃의 꽃말은 아가씨의 수줍음이고, 봄을 알리는 아름다운 꽃 중에 하나이다.
愁闻, 零落와 같은 단어와 살구꽃이 같이 쓰이면서 대조되게 경물의 노쇠한 특징과 암울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 암울한 분위기를 기억한 상태에서 계속 11수 하편을 보자.
온정균 보살만 11수 하편 작품 해석
상편에서는 눈앞에 보이는 정원에 모습과 중국의 큰 명절인 청명절에 비가 오고 비가 갠 후에는 아름다운 살구꽃이 보이면서 살구꽃에 향기가 막 나는 것도 아닌 드문드문 나는 상황을 묘사했었다.
그럼 하편을 보자.
无言匀睡脸,枕上屏山掩。 时节欲黄昏,无憀独倚门。
말없이 자다가 일어나, 화장을 하네.
베갯머리는 병풍으로 가려져 있네.
시간이 황혼으로 향해가고 있네.
무료하게 홀로 문에 기대서네.
상편에서 봤을 때도 알고 있었지만, 여성이 혼자 남아있는 시간이 너무 쓸쓸하고 암울해 보인다.
보살만 11수 하편은 주위에 상황을 보여주었던 상편과 다르게 주로 여성의 상태에 대해 쓰고 있다.
여성이 잠에서 깨자마자 두 눈에 보이는 모습은 수침과 병산이다.
낮잠에서 일어나서 제일 먼저 눈에 수침과 병산이 비치고 여성은 얼굴에 분을 바른고 화장을 한다.
여기에서는 낮잠에서 일어난 것은 앞에 상편에서 나온 愁闻, 零落과 함께 어우러져 지극히 고요한 여성의 고독을 그려내고 있다.
계속 이어서 보면 여성의 시간이 점점 황혼으로 향해가고 있다.
황혼은 사람의 생애나 운명 따위가 한창인 고비를 지나 쇠퇴하여 점점 종말에 이르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단어이다. 사랑하는 연인은 곁에 없고 여성은 점점 황혼에 시간으로 향해가면서, 여성은 홀로 문에 기대서서
여성이 황혼으로 점점 향해가니깐 여성은 홀로 문에 기대서서 무료한 마음을 달래고 있다.
여기까지가 온정균 보살만의 11수의 상, 하편의 내용이다.
전에도 느꼈지만 이 여성 주인공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사랑하는 아니면 사랑했던 연인을 기다리면서 일상생활을 보내고는 있지만, 생활 중에 문득문득 드러나는 쓸쓸함과 고독함은 밝거나 어여쁜 상황과 대조되면서 더더욱 부각되고 있다.
보살만의 수를 보면서도 점점 여성이 사랑했던 연인을 잊고 혼자만의 일상생활에서의 즐거움을 찾았으면 좋겠는데, 과연 보살만의 모든 수가 끝나기 전에 가능할까?
'온정균 보살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청명절 (2) | 2024.12.10 |
---|---|
보살만 2수 원앙 (2) | 2024.11.28 |
보살만의 배경이 된 당나라 (3) | 2024.11.25 |
온정균 보살만(菩萨蛮) 10수 작품해석 (1) | 2024.04.24 |
온정균 보살만(菩萨蛮) 9수 작품해석 (0) | 2024.04.21 |